개발할 때는 mac

개발할 때는 mac
Photo by Domenico Loia / Unsplash

나는 상당히 오랫동안 windows 프로그램 개발자였다. 2014년에 ios 앱 개발 외주 후 유지보수를 위해 어쩔 수 없이 mac mini를 중고로 구매했다. 이후 4년정도 지나 android 앱 개발도 mac으로 옮겨오면서 완전히 mac의 생태계에 들어오게 되었고 지금까지 매우 만족하면서 개발하고 있다. 이 글은 개발환경으로 mac을 쓰는 것에 대해 알아본다.

mac 환경의 장점

유닉스 기반

맥 OS는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제로, 리눅스와 공통된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맥에서 많은 개발 도구를 자연스럽게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자가 리눅스 서버에서 작업을 할 경우, 맥 OS 환경에서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것이 윈도우보다 더 간편할 수 있다.

터미널 사용

맥 OS에는 기본적으로 터미널이 내장되어 있다. 터미널은 개발자에게 풍부한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많은 작업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해 윈도우의 기본 커맨드라인 도구는 기능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개발자 커뮤니티와 지원

맥은 개발자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거나 신규 기술에 대한 정보를 얻기 쉽다. 특히 웹 개발, 모바일 개발 분야에서 맥 사용자의 비율이 높다.

Homebrew

맥 OS에는 Homebrew라는 훌륭한 패키지 관리자가 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필요한 소프트웨어와 라이브러리를 쉽게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Xcode

맥 OS는 Xcode라는 강력한 IDE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iOS 및 macOS 개발에 필수적이며, 그 외에도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 윈도우 환경에서는 ios/mac용 응용프로그램을 만들 수 없다.

내가 겪은 특별한 장점

위에서 나열한 것도 물론 중요한 장점이다. 그렇지만 양쪽 다 써본 사람으로서, mac의 안정성은 정말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무래도 하드웨어와 os를 같이 만들어서 그런지 모든 것이 매끄럽다.

컴퓨터에 달려 있는 각종 device들에 대한 설정과 문제해결, bios 설정에 들어가서 이것저것 바꾸는 것이 굳이 취미가 아니라면 이런 일들은 개발에 집중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된다.  mac은 그런 면에서 컴퓨터 그 자체가 아니라 컴퓨터로 해야 하는 일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었다.

너무 비싼가요? macbook air m1을 추천합니다!

나도 처음에 입문할 때 가격때문에 제일 싼 mac mini를 샀던 기억이 있다. 키보드도 비싸고 마우스도 비싸서 당연히 다른 회사 제품을 붙였다. 노트북을 처음 살 때도 다른 회사 새 제품값을 주고 macbook pro 15인치를 중고로 샀었다.

무슨 일이 일어난건지, 이제는 내가 mac을 주변사람들에게 가성비 면에서 추천하고 다닌다. m1 macbook air는 출시 당시 팔리고 있던 intel 노트북의 90% 보다 빨랐다. 심지어 같은 회사의 macbook pro 15/16인치 8core i9 모델 보다도 빨랐다. 그러면서 배터리는 열몇시간을 쓸 수 있다.

지금 새 제품이 120만원, 중고 제품은 70만원대면 찾을 수 있다. 취준생/학생이고 개발에 발을 들여놓으려 한다면 충분히 오래 쓸 수 있는 제품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에서는 윈도우 없으면 안되는데

예전에는 정말 힘들었다. 은행 일도 보기 힘들었고, internet explorer만을 지원하는 많은 사이트들이 있었다. 이제는 그런 일이 많이 줄었고, 심지어 hwp도 웹에서 열 수 있는 시대이다.

그래도 꼭 윈도우 환경이 필요할 때는 vmware fusion player를 사용하자. 무료로 mac 내에 가상의 윈도우 환경을 꾸려놓을 수 있다. 만약 모든 intel cpu 기반의 윈도우 프로그램이 돌아가야 한다면 utm 을 써서 윈도우 환경을 구축하면 된다. m1은 퍼포먼스가 좋아 가상환경에서도 충분히 기본적인 작업이 가능했다.

mac에서 utm으로 띄운 windows11

결론

개발환경으로서 mac이 가지는 일반적인 장점, 내가 느꼈던 장점을 좀 적어보았다. 그리고 전환하는데 비용문제라던지 우리나라 환경에서 느끼는 문제에 대한 대안도 좀 찾아보았다.